신약 개발 관련주 10종목 | 제약 바이오 시리즈② – 종목별 투자 포인트 분석(대장주·수혜주)
🧬 신약 개발 관련주 투자 포인트 🧬

최근 몇 년간 조정을 겪었던 제약·바이오 시장이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제약사들이 협업 대상을 물색하며 국내 기업들과의 기술 제휴 및 공동 개발이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신약 개발 분야가 시장의 새로운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신약은 단순 기대감이 아닌, 실적과 연결되는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2025년 현재, 미국 FDA 임상 진입과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국내 기업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 항암제, 뇌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파이프라인이 가동되고 있으며 다수 기업이 마일스톤 수익 구조를 기반으로 중장기 실적 개선도 가능하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2025년 기준 신약 개발 관련주 10종목에 대해 사업 내용과 테마 연결성, 투자 포인트를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유한양행 (000100) – 신약 개발 대장주👑

신약 기술력으로 글로벌 제약사와 경쟁하는 국내 대표 제약주
🏢 기업 개요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유한양행
은 의약품, 생활용품, 수의약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국내 대표 종합 제약사입니다.
1926년 설립된 오랜 역사를 가진 기업으로, 렉라자, 삐콤씨, 안티푸라민, 듀오웰 등 국민 인지도 높은 제품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약품, 생활건강, 해외사업 부문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벤처와 협업을 통해 AI 기반 신약 개발과 연구 파이프라인 확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 약품 부문: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렉라자, 자디앙, 트윈스타 등)
– 생활건강 부문: 안티푸라민, 삐콤씨, 유한락스 등 생활용품
– 해외사업 부문: 수출 및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주요 사업 부문
– 약품 부문: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렉라자, 자디앙, 트윈스타 등)
– 생활건강 부문: 안티푸라민, 삐콤씨, 유한락스 등 생활용품
– 해외사업 부문: 수출 및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 투자 포인트
유한양행은 국산 폐암 신약 ‘렉라자’를 기반으로 글로벌 신약 시장에 도전하는 대표 제약사입니다.
렉라자는 이미 국내 출시를 통해 안정적 매출을 기록 중이며,
2025년부터는 일본과 유럽에서의 출시 및 마일스톤 수익이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2024년 4월에는 렉라자를 투여받은 폐암 환자의 완치 사례가 국제학술지에 소개되며 신약 효능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커졌고, 이에 따라 주가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미국 종합 암네트워크(NCCN)에 등재되며 치료 권고 약물로서 위상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유한양행은 다수의 신약 파이프라인과 AI 기반 개발 플랫폼을 통해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과 글로벌 제약사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실적 개선과 함께 R&D 시스템 고도화로 신약 중심의 체질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2024년 4월에는 렉라자를 투여받은 폐암 환자의 완치 사례가 국제학술지에 소개되며 신약 효능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커졌고, 이에 따라 주가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미국 종합 암네트워크(NCCN)에 등재되며 치료 권고 약물로서 위상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유한양행은 다수의 신약 파이프라인과 AI 기반 개발 플랫폼을 통해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과 글로벌 제약사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실적 개선과 함께 R&D 시스템 고도화로 신약 중심의 체질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
2. SK바이오팜 (326030) – 신약 개발 대장주👑

신약 상용화 성과와 글로벌 시장 진출로 도약하는 뇌전증 치료 전문 기업
🏢 기업 개요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SK바이오팜
은 뇌전증, 수면질환, 항암 등 중추신경계(CNS) 중심의 신약을 개발·판매하는 전문 제약기업입니다.
SK그룹의 신약 개발 전략에 따라 1993년부터 연구를 시작했으며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와 솔리암페톨 같은 신약을 상용화하며 미국 시장에 직접 진출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후속 물질 개발과 항암 분야 파이프라인 확장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 CNS 질환 치료제: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 솔리암페톨
– 연구 개발: 뇌전증, 수면장애, 항암 치료제 후보물질 탐색
– 글로벌 사업: 미국 시장 직접 판매, 유럽 및 일본 진출 추진
주요 사업 부문
– CNS 질환 치료제: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 솔리암페톨
– 연구 개발: 뇌전증, 수면장애, 항암 치료제 후보물질 탐색
– 글로벌 사업: 미국 시장 직접 판매, 유럽 및 일본 진출 추진
⭐ 투자 포인트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의 미국 시장 성공적인 안착과 함께 첫 연간 흑자전환에 성공한 신약 상용화 제약사입니다.
2025년 2월에는 창사 이래 첫 연간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하며 턴어라운드에 성공했고
미국 시장에서의 고성장에 힘입어 매출도 전년 대비 68.6% 급증했습니다.
특히 2024년 하반기에는 6거래일 연속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엑스코프리 성장성과 미국 FDA 수출 모멘텀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미국 관세 면제 대상 품목으로 선정된 바이오의약품 중심 수출 전략도 긍정적입니다. 더불어 KOL 및 LTC 채널 확장을 위한 기술 영업 강화 전략을 통해 미국 내 판매 확대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SK바이오팜은 R&D 중심의 제약사에서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 성과를 내는 상업화 기업으로 전환하고 있는 드문 사례로 지속적인 파이프라인 확대와 수익성 개선 흐름 속에서 신약 개발 대장주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특히 2024년 하반기에는 6거래일 연속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엑스코프리 성장성과 미국 FDA 수출 모멘텀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미국 관세 면제 대상 품목으로 선정된 바이오의약품 중심 수출 전략도 긍정적입니다. 더불어 KOL 및 LTC 채널 확장을 위한 기술 영업 강화 전략을 통해 미국 내 판매 확대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SK바이오팜은 R&D 중심의 제약사에서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 성과를 내는 상업화 기업으로 전환하고 있는 드문 사례로 지속적인 파이프라인 확대와 수익성 개선 흐름 속에서 신약 개발 대장주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
3. 온코닉테라퓨틱스 (476060) – 신약 개발 관련주

소화기질환과 항암 분야에서 혁신 신약 도전, 글로벌 기술이전까지 이룬 바이오벤처
🏢 기업 개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온코닉테라퓨틱스
는 위산 유발 소화기 질환 및 항암 분야에서 글로벌 혁신 신약을 개발하는 저분자 기반 신약 연구 기업입니다.
합리적인 가격의 신치료제 개발을 위해 저분자 화합물 중심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류성식도염 신약 자큐보정과 차세대 표적항암제 네수파립 개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 신뢰도 또한 빠르게 높이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 소화기 질환 치료제: 자큐보정(Zastaprazan)
– 항암 신약 개발: 네수파립(Nesuparib), 이중저해 항암제
– 기술이전: 중국 리브존과 기술이전 계약 체결
주요 사업 부문
– 소화기 질환 치료제: 자큐보정(Zastaprazan)
– 항암 신약 개발: 네수파립(Nesuparib), 이중저해 항암제
– 기술이전: 중국 리브존과 기술이전 계약 체결
⭐ 투자 포인트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자큐보정과 네수파립 두 축을 중심으로 소화기 및 항암 치료제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중인 바이오벤처입니다.
자큐보정은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시장에서 기존 PPI 제제를 대체할 신약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2025년에는 위궤양 치료에 대한 적응증 확대와 함께 신약 품목허가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에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표적항암제 네수파립의 위암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차세대 항암제 경쟁력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냈고, 해당 물질은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DD)으로 지정되며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이중저해 기반으로 기존 PARP 저해제 대비 최대 28배 높은 항종양 효과를 보였다는 점도 시장의 기대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자큐보정은 중국 제약사 리브존에 기술이전 계약을 완료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의 가능성과 마일스톤 수익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기 이벤트와 중장기 성장 동력이 모두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2025년 4월에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표적항암제 네수파립의 위암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차세대 항암제 경쟁력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냈고, 해당 물질은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DD)으로 지정되며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이중저해 기반으로 기존 PARP 저해제 대비 최대 28배 높은 항종양 효과를 보였다는 점도 시장의 기대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자큐보정은 중국 제약사 리브존에 기술이전 계약을 완료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의 가능성과 마일스톤 수익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기 이벤트와 중장기 성장 동력이 모두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
4. 제일약품 (271980) – 신약 개발 관련주

자회사 신약 모멘텀과 함께 신제형 임상 성과로 기대감 커지는 제약 중견기업
🏢 기업 개요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제일약품
은 완제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며, 신약 및 개량신약 개발에 집중하는 중견 제약사입니다.
2017년 제일파마홀딩스에서 인적분할을 통해 신설되었으며,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를 통한 혁신신약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토플러스,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넥실렌, 항암제 티에스원 캡슐 등이 있으며
자체 신약 개발 외에도 자회사를 통한 글로벌 임상 전략도 함께 추진 중입니다.
주요 사업 부문
– 일반·전문의약품 제조 및 판매: 리피토플러스, 로제듀오, 넥실렌 등
– 신약 연구: 자회사 온코닉을 통한 자큐보정, 네수파립 개발
– 글로벌 확장 전략: 희귀의약품 지정 및 기술이전 기반 진출 추진
주요 사업 부문
– 일반·전문의약품 제조 및 판매: 리피토플러스, 로제듀오, 넥실렌 등
– 신약 연구: 자회사 온코닉을 통한 자큐보정, 네수파립 개발
– 글로벌 확장 전략: 희귀의약품 지정 및 기술이전 기반 진출 추진
⭐ 투자 포인트
제일약품은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를 통한 신약개발 성과가 직접적인 주가 모멘텀으로 이어지고 있는 종목입니다.
자큐보정의 신규 제형 연구와 희귀의약품 지정, 네수파립의 높은 항암효과 발표 등은
모회사 제일약품에도 실적 회복과 성장 기대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2025년 4월에는 네수파립이 미국 FDA로부터 위암 및 위식도접합부암에 대해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며 관련주로 시장의 주목을 받았고, ‘아스트라제네카보다 뛰어난 효능’이라는 평가와 함께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자회사 온코닉의 자큐보정은 세계 두 번째 구강붕해정 제형으로 개발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온코닉의 글로벌 기술이전 실적은 제일약품의 신약 경쟁력을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단, 최근 영업이익 및 순이익 적자전환, 리피토 등 기존 품목의 매출 감소, 과징금 이슈 등 단기 실적 및 평판 리스크는 유의해야 하며 자회사 신약 모멘텀을 활용한 전략적 재도약 여부가 핵심 포인트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2025년 4월에는 네수파립이 미국 FDA로부터 위암 및 위식도접합부암에 대해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며 관련주로 시장의 주목을 받았고, ‘아스트라제네카보다 뛰어난 효능’이라는 평가와 함께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자회사 온코닉의 자큐보정은 세계 두 번째 구강붕해정 제형으로 개발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온코닉의 글로벌 기술이전 실적은 제일약품의 신약 경쟁력을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단, 최근 영업이익 및 순이익 적자전환, 리피토 등 기존 품목의 매출 감소, 과징금 이슈 등 단기 실적 및 평판 리스크는 유의해야 하며 자회사 신약 모멘텀을 활용한 전략적 재도약 여부가 핵심 포인트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
5. 알테오젠 (196170) – 신약 개발 관련주

글로벌 기술수출과 자체 신약 개발력, 플랫폼 바이오의 대표 주자
🏢 기업 개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알테오젠
은 히알루로니다제 원천기술 등 독자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수출하는 기술특례 상장 바이오기업입니다.
NexP™ 융합기술, NexMab™ ADC기술, ALT-B4 하이브로자임 등 독자적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기술수출 계약을 다수 체결했으며
황반변성 치료제 ALT-L9과 피하주사형 테르가제주는 국내외 임상 및 허가 단계를 진행 중입니다.
주요 사업 부문
– 바이오의약품 R&D: 히알루로니다제, 단백질 융합 기술 기반 치료제
– 기술수출: MSD, 아스트라제네카 등 다수 글로벌 제약사와 계약
– 자체 개발제품: ALT-B4(테르가제주), ALT-L9(황반변성 치료제)
주요 사업 부문
– 바이오의약품 R&D: 히알루로니다제, 단백질 융합 기술 기반 치료제
– 기술수출: MSD, 아스트라제네카 등 다수 글로벌 제약사와 계약
– 자체 개발제품: ALT-B4(테르가제주), ALT-L9(황반변성 치료제)
⭐ 투자 포인트
알테오젠은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수출 실적과 독보적 플랫폼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국내 대표 바이오벤처입니다.
2020년에는 머크(MSD)와 4.7조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업계 이목을 끌었고
이후 아스트라제네카 자회사 메드이뮨과의 협업, 신규 마일스톤 유입 등 추가 수익화 이벤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테르가제주의 국내 식약처 품목허가가 기대되며 황반변성 치료제 ALT-L9도 국내와 사우디 판권 계약을 완료, 유럽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월 1회 투여 가능한 비만 치료용 주사제 플랫폼 기술을 공개하며 신사업 확장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실적 측면에선 일부 매출 인식 시점 이슈로 일시적인 매출 감소가 있었지만 재고자산 원가 감소로 인해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기술수출 기반 마일스톤 유입과 신규 라이선스 계약 확대가 올해 실적 개선의 핵심 포인트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2025년에는 테르가제주의 국내 식약처 품목허가가 기대되며 황반변성 치료제 ALT-L9도 국내와 사우디 판권 계약을 완료, 유럽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월 1회 투여 가능한 비만 치료용 주사제 플랫폼 기술을 공개하며 신사업 확장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실적 측면에선 일부 매출 인식 시점 이슈로 일시적인 매출 감소가 있었지만 재고자산 원가 감소로 인해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기술수출 기반 마일스톤 유입과 신규 라이선스 계약 확대가 올해 실적 개선의 핵심 포인트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
6. 한올바이오파마 (009420) – 신약 개발 관련주

자가면역·항암 신약 중심의 글로벌 도전, 신약 파이프라인이 풍부한 제약사
🏢 기업 개요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한올바이오파마
는 160여개 이상의 전문·일반의약품을 보유한 종합 제약사로, 항체 기반 글로벌 신약개발에 적극적인 기업입니다.
내분비, 순환기, 비뇨기 치료제를 비롯해 면역항체 신약, Anti-TNF 바이오신약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갖추고 있으며
2004년부터 글로벌 신약개발 인프라를 구축해 핵심 인력을 확보하고 연구 시설을 지속 확장 중입니다.
주요 사업 부문
– 일반의약품 및 전문의약품: 바이오탑, 엘리가드, 노르믹스, 탈모치료제 등
– 면역질환 치료제: HL161, HL036 등 바이오신약
– 글로벌 R&D: 미국 이뮤노반트와 공동 임상, 캐나다·중국 등 다국적 연구 진행
주요 사업 부문
– 일반의약품 및 전문의약품: 바이오탑, 엘리가드, 노르믹스, 탈모치료제 등
– 면역질환 치료제: HL161, HL036 등 바이오신약
– 글로벌 R&D: 미국 이뮤노반트와 공동 임상, 캐나다·중국 등 다국적 연구 진행
⭐ 투자 포인트
한올바이오파마는 HL161, HL036 등 바이오 항체 신약을 다국적 제약사와 공동개발하며 글로벌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 바이오 제약사입니다.
HL161은 중증 근무력증 및 난치성 류마티스관절염 등으로 적응증 확대를 진행 중이며
2024년 미국과 캐나다, 유럽 등에서 공동 임상 진행 및 탑라인 결과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최근에는 파킨슨병 치료 신약에 대한 캐나다 임상 1상 진행과 함께 신규 신약물질 IMVT-1402의 임상 추진 기대감도 커지고 있으며 항암면역 신약 분야에서도 신규 타깃을 발굴해 다수의 임상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입니다.
다만 2024년에는 중국 파트너사와의 계약 해지, MG 치료제 3상 결과 부진 등 일부 리스크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실적도 적자전환을 기록하였으나 32억 자사주 취득 결정과 ISO 37001 인증 유지 등 윤리경영 측면에서도 안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풍부한 바이오 파이프라인과 글로벌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재평가 여지가 큰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최근에는 파킨슨병 치료 신약에 대한 캐나다 임상 1상 진행과 함께 신규 신약물질 IMVT-1402의 임상 추진 기대감도 커지고 있으며 항암면역 신약 분야에서도 신규 타깃을 발굴해 다수의 임상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입니다.
다만 2024년에는 중국 파트너사와의 계약 해지, MG 치료제 3상 결과 부진 등 일부 리스크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실적도 적자전환을 기록하였으나 32억 자사주 취득 결정과 ISO 37001 인증 유지 등 윤리경영 측면에서도 안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풍부한 바이오 파이프라인과 글로벌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재평가 여지가 큰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
7. HLB (028300) – 신약 개발 관련주

FDA 승인 도전과 반등 기대감, 간암 신약에 집중하는 바이오 그룹주
🏢 기업 개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HLB
는 의료기기 및 항암·면역 신약 개발을 병행하는 다각화된 바이오 그룹입니다.
체외진단기기, 의약외품, 의료소모품을 제조하는 한편,
자회사 및 해외 종속법인을 통해 간암, 위암 등 항암 치료제와 면역항암제를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선박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HLB이엔지를 설립하며 바이오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 진단기기, 위생용품 등
– 항암 신약 개발: 리보세라닙, 캄렐리주맙 병용요법
– 임상 및 글로벌 사업: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임상시험 진행
주요 사업 부문
–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 진단기기, 위생용품 등
– 항암 신약 개발: 리보세라닙, 캄렐리주맙 병용요법
– 임상 및 글로벌 사업: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임상시험 진행
⭐ 투자 포인트
HLB는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의 미국 FDA 승인 이슈를 중심으로 바이오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항암 신약 전문 기업입니다.
리보세라닙과 항서제약의 캄렐리주맙 병용투여 요법은 이미 두 차례 FDA 보완요구서를 받은 바 있으며
2025년 1분기를 기점으로 재심사가 예정되어 있어, 승인 여부가 중장기 주가의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 9월에는 ENG사업부문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기 매출 정체와 높은 연구개발비 부담으로 영업손실이 확대된 상황이지만 간암 1차 치료제 승인 도전이라는 대형 이벤트를 앞두고 있어 기대감은 여전합니다.
최근에는 FDA 승인 실패 소식으로 주가가 하한가를 기록했으나 HLB 측은 재도전 의지를 밝히며 반등에 성공했고, HLB제약, HLB사이언스 등 그룹사 전체가 바이오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고위험·고수익 구조의 신약 승인 기대 종목으로서 단기 변동성은 크지만 중장기 트리거가 명확한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2024년 9월에는 ENG사업부문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기 매출 정체와 높은 연구개발비 부담으로 영업손실이 확대된 상황이지만 간암 1차 치료제 승인 도전이라는 대형 이벤트를 앞두고 있어 기대감은 여전합니다.
최근에는 FDA 승인 실패 소식으로 주가가 하한가를 기록했으나 HLB 측은 재도전 의지를 밝히며 반등에 성공했고, HLB제약, HLB사이언스 등 그룹사 전체가 바이오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고위험·고수익 구조의 신약 승인 기대 종목으로서 단기 변동성은 크지만 중장기 트리거가 명확한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
8. 펩트론 (087010) – 신약 개발 관련주

펩타이드 기반 지속형 약물 플랫폼, 글로벌 진출 노리는 스마트 약물 전달 기술 기업
🏢 기업 개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펩트론
은 펩타이드 공학과 약효 지속형 제형 기술을 기반으로 신약과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전립선암, 당뇨병, 파킨슨병 등 만성질환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체 기술인 SmartDepot 플랫폼을 활용한 지속형 주사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오송 GMP 공장을 통해 주사제 완제도 생산 가능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 지속형 제형 치료제: 전립선암, 말단비대증, 퇴행성신경질환 등
– 플랫폼 기술: SmartDepot(지속형 약물 전달 시스템)
– 글로벌 공동연구: 일라이 릴리와의 공동 프로젝트 진행
주요 사업 부문
– 지속형 제형 치료제: 전립선암, 말단비대증, 퇴행성신경질환 등
– 플랫폼 기술: SmartDepot(지속형 약물 전달 시스템)
– 글로벌 공동연구: 일라이 릴리와의 공동 프로젝트 진행
⭐ 투자 포인트
펩트론은 약효 지속형 주사제 개발에 특화된 플랫폼 기술로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을 이끌어낸 신약 기술 기업입니다.
자체 기술인 SmartDepot은 약물의 초기 과다방출을 줄이면서 일정한 약물 방출을 가능케 하며
최근에는 1개월 지속형 비만치료제 PT403이 호주 특허를 취득하며 주목받았습니다.
일라이 릴리와의 공동연구 계약 체결 이후 주가는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고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플랫폼 기술 발표 예정으로 글로벌 기술 인지도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파킨슨병 치료제에 대한 국내 임상 2상과 함께, 전립선암 치료제 생동시험도 병행하며 단순 연구 단계를 넘어 상용화를 준비하는 임상 기반 바이오기업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비록 R&D 투자 증가로 인해 손실 폭이 확대되었으나 지속형 제형의 효용성과 기술이전 가능성,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흐름은 장기적으로 재평가될 여지를 충분히 가진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일라이 릴리와의 공동연구 계약 체결 이후 주가는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고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플랫폼 기술 발표 예정으로 글로벌 기술 인지도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파킨슨병 치료제에 대한 국내 임상 2상과 함께, 전립선암 치료제 생동시험도 병행하며 단순 연구 단계를 넘어 상용화를 준비하는 임상 기반 바이오기업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비록 R&D 투자 증가로 인해 손실 폭이 확대되었으나 지속형 제형의 효용성과 기술이전 가능성,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흐름은 장기적으로 재평가될 여지를 충분히 가진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
9. 보로노이 (310210) – 신약 개발 관련주

표적 치료제 집중 전략과 조기 기술이전 모델, 변동성 속 기회 찾는 임상 바이오주
🏢 기업 개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보로노이
는 표적 치료제 기반의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여 조기 임상 이전에 기술이전하는 전략을 가진 R&D 중심 바이오기업입니다.
세포 내 신호전달에 핵심적인 인산화효소(Kinase)를 타깃으로 한 차세대 표적항암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회사 보로노이바이오, 비투에스바이오를 통해 면역치료제, 만성염증질환 등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 표적 치료제 개발: HER2 양성 고형암, 폐암, 염증질환 등
– 기술이전 사업: 전임상 또는 초기 임상 단계의 후보물질 L/O 추진
– 글로벌 임상: 미국, 유럽 등 임상 1상, 2a 초기 단계 집중
주요 사업 부문
– 표적 치료제 개발: HER2 양성 고형암, 폐암, 염증질환 등
– 기술이전 사업: 전임상 또는 초기 임상 단계의 후보물질 L/O 추진
– 글로벌 임상: 미국, 유럽 등 임상 1상, 2a 초기 단계 집중
⭐ 투자 포인트
보로노이는 초기 임상 단계의 후보물질을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이전하는 조기 수익화 모델을 갖춘 표적치료제 전문 기업입니다.
폐암 치료제 VRN11의 미국 임상 자진 취하 이후 일시적으로 주가가 급락했지만
이후 VRN101099 등 신규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입과 조기 기술이전 가능성이 부각되며 빠르게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2025년 3월에는 HER2 양성 고형암 대상 VRN101099의 임상 데이터 발표가 기대되며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긍정적 데이터 발표 가능성이 시장의 기대를 자극했습니다. 만성염증질환 파이프라인 VRN04를 확보하며 적응증 확장과 기술자산 다각화도 진행 중입니다.
다만, 초기 임상 중심의 사업 모델 특성상 단기 실적 가시성은 낮고, 이벤트 중심의 높은 주가 변동성은 유의가 필요합니다. 기술이전 계약 성사 여부에 따라 기업가치가 급변할 수 있는 구조로 임상 진행 및 파트너링 이벤트를 통한 재평가 가능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는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2025년 3월에는 HER2 양성 고형암 대상 VRN101099의 임상 데이터 발표가 기대되며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긍정적 데이터 발표 가능성이 시장의 기대를 자극했습니다. 만성염증질환 파이프라인 VRN04를 확보하며 적응증 확장과 기술자산 다각화도 진행 중입니다.
다만, 초기 임상 중심의 사업 모델 특성상 단기 실적 가시성은 낮고, 이벤트 중심의 높은 주가 변동성은 유의가 필요합니다. 기술이전 계약 성사 여부에 따라 기업가치가 급변할 수 있는 구조로 임상 진행 및 파트너링 이벤트를 통한 재평가 가능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는 종목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
10. 한미약품 (128940) – 신약 개발 관련주

경영권 분쟁 종료와 신약 개발 모멘텀, 신약 가치 상승 기대
🏢 기업 개요
코스피에 상장된
한미약품
은 혁신적인 신약 개발과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는 글로벌 제약사입니다.
아모잘탄, 로수젯, 에소메졸 등의 주요 의약품을 보유하며,
최근에는 표적항암 신약 ‘HM97662’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R&D 활동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국내외 1,566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경영권 분쟁을 해결하고 새로운 경영 체제로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 의약품 제조 및 판매: 복합고혈압치료제, 고지혈증치료제 등
– 신약 개발: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 바이오의약품
– 글로벌 시장 확장: 아시아, 중남미 시장 확대
주요 사업 부문
– 의약품 제조 및 판매: 복합고혈압치료제, 고지혈증치료제 등
– 신약 개발: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 바이오의약품
– 글로벌 시장 확장: 아시아, 중남미 시장 확대
⭐ 투자 포인트
한미약품은 경영권 분쟁 종료 후 안정적인 경영 체제를 구축하며 신약 개발에 집중하는 제약사입니다.
특히, 차세대 표적항암 신약 ‘HM97662’ 개발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발굴이 진행 중이며,
2025년에는 신약 모멘텀을 본격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한미약품은 아시아 및 중남미 시장의 성장과 함께 매출을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내 의약품 시장 성장에 힘입어 매출 증가와 영업이익 증가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신약 개발을 통한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4분기 실적 부진과 경영권 분쟁 이후의 회복 과정에서 단기적인 불확실성도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신약 개발이 실적 개선의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또한, 한미약품은 아시아 및 중남미 시장의 성장과 함께 매출을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내 의약품 시장 성장에 힘입어 매출 증가와 영업이익 증가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신약 개발을 통한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4분기 실적 부진과 경영권 분쟁 이후의 회복 과정에서 단기적인 불확실성도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신약 개발이 실적 개선의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신약 개발 관련주)
🌐 참고 사이트